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

탑메뉴

미래설계 이해

 작성방법

미래설계 준비 2. 자립생활 기반 만들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256회 작성일 24-05-07 11:39

본문

미래설계를 위해 두 번째로 준비해야 할 일은 잘비생활 기반 만들기 입니다.
자녀의 자립생활을 위한 자기관리 필요 영역을 확인하고, 이를 실천해 보세요.

1. 자기관리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4450_7709.jpg

현재의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장애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부모의 도움을 채우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원칙을 고려하여 가정에서 차근차근 자기관리 기술을 연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자기관리 지원의 원칙 >

01. 기대치를 높이세요.
자기관리 기술의 모든 영역은 하나도 버릴 것 없이 필요하지만 기술의 난이도나 장애자녀의 생활영역에 따라 온전히 혼자서 해낼 수 있는 영역과 전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하는 영역이 공존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새로운 경험과 연습의 기회를 얻기 위해서 위험을 감수하거나 도전 을 감행하는 경우도 있어야 합니다.

02. 세심한 지원계획을 세우세요.
발달장애 자녀를 위한 지원은 필수불가결한 것이지만 부모의 관심과 사랑, 배려의 이름으로 남발해서는 안됩니다. 자녀와 함께 또는 자녀가 독립적으로 해낸 여러 자기관리기술을 되돌아 보면서 불필요하게 제공되는 지원은 없는지, 적재적소의 지원이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세심하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03. 동기를 유발하세요.
부모의 관점에서는 꼭 해야만 하는 과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애자녀가 자기관리 기술이 온전히 있다고 자연스러운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면 자발적으로 하려들지 않을 수 있 습니다. 스스로 즐거움을 찾거나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의 자발적인 동기부여가 어렵거나 부족하다면 물적인 보상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녀가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기관리 지원기술 >


01. 도와주기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해내기 어려운 자기관리 기술을 익히도록 촉구를 주는 방법입니다. 직접 손을 잡거나 몸통을 돌려 동작을 알려 줄 수도 있고 주목해야 하는 부분을 손을 가리켜 힌트를 줄 수도 있습니다. 순서를 건너뛰지 않도록 시각적 자료를 준비하거나 남은 시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타이머를 추가로 준비하기도 합니다.

02. 보여주기
가장 쉽게 자기관리 기술을 익힐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부모가 직접 시범을 보여주고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충분히 함께 연습한 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시범없이 자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03. 보상하기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보상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상을 부모가 일방적으로 정하기보다는 자녀의 취향을 고려하여 직접 선택하도록 기회를 줄 수도 있습니다. 가족구성원 모두 가 보상에 대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특정한 보상을 얻기 위한 토큰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04. 나누어 연습하기
큰 덩어리의 음식을 한입에 꿀꺽 삼킬 수 없듯이 자기관리기술도 큰 덩어리의 과제를 한꺼번에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려운 과제는 작은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꼼꼼하게 제대로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 단계별로 위에 소개된 도와주기, 보여주기, 보상하기의 기술을 별도로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계별 기술의 방법과 절차를 쉽게 익히도록 사진자료를 순서대로 보여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나누어 연습하는 '과제분석‘ >

어려운 과제를 좀 더 쉬운 단계로 쪼개어 연습하는 방법을 '과제분석'이라고 합니다. 표로 제시된 자기관리 기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화하기 쉬운" 작은 단계로 나눈 후 연습하는 방법입니다. 나뉘어진 작은 단계를 이해하기 쉬운 사진과 글로 정리하여 특정 장소에 붙여두고 연습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4500_151.jpg


자기관리가 필요한 영역
자기관리가 필요한 영역을 작은 단계별로 사진(또는 그림)을 찍어 붙이고 설명을 적어보세요. 이러한 '과제분석' 활용하여 자녀가 연습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2. 그림일과표
그림일과표는 일상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일정에 대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한 자녀가 보다 자유롭게 과제에 접근하고 집중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녀의 자기결정능력과 선택기술이 향상될 있습니다. 때로는 좋아하지 않은 일을 설득할 때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어려운 과제를 좀 더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자녀의 활동모습이나 먹고 있는 약 사진 등을 찍어 사용하면 더 이해하기 좋은 자료가 됩니다.

3. 인간관계 만들기
늘 가까이서 돌봐 줄 혈육이 없을때 자녀에게 필요한 친구나 특별한 상황에서 자녀의 권리를 지켜줄 수 있는 지지자가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면 내 아이의 삶은 조금 더 나아지고, 부모님의 걱정을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인간관계를 만들기 위한 활동을 실천해보세요. 지원자가 필요하다면 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에 연락주세요.


카피라이터

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
주소. 경남 창원시 의창구 서상로12번길 67(서상동, 한성플러스) / Tel. 070-7725-8891 / Fax. 055-275-7908 / E-mail. knfamily2020@daum.net
Copyright(C)KNFAM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