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

탑메뉴

미래설계 이해

 작성방법

미래설계 실행 1. 직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221회 작성일 24-05-07 11:40

본문

본격적으로 미래설계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직업입니다.

 

1, 좋아하는 직업 찾기

 

좋아하는 일(흥미) vs 잘 할 수 있는 일(적성)

장애자녀의 직업은 이중 무엇을 더 고려하여야 할까요?

 

좋아하는 일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열심히 하게 되고 그러다보면 관련 능력이 쌓여 정말 그 일을 잘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격려를 받으면 자존감이 높아지면서 그 일을 더 좋아할 수 있게 됩니다.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그 일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게 되고, 그 일을 오랫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잘 할 수 있는 일은 자녀 스스로 선택하기보다는 부모든 교사든 누군가에 의해 현재 잘 하는 일 또는 앞으로 잘 할 수 있는 일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잘 하는 일이라 하더라도 나중에 그 일에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 잘 하지 못하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잘하는 일을 찾기보다는 좋아하는 활동, 일을 먼저 찾아보고, 그것과 연관된 직업을 찾아보는 것이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찾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대화가 어렵다면 자녀가 학교 다니면서 만든 것, 그린 것 등 자신을 표현한 것들을 찾아보시거나, 자녀의 학교 기록을 한 번 찾아보세요.


그럼 자녀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봅시다먼저, 자녀와 대화를 해보세요. 대화를 할 때는 다음의 질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음식은?(무슨 음식을 제일 좋아해?) 

 좋아하는 노래는?(어떤 노래가 제일 좋아?) 

 좋아하는 TV프로그램은?(어떤 프로그램이 가장 재밌었니?)

 좋아하는 활동은? 좋아하는 일은?(어떤 일을 했을 때 가장 재밌었니?)

 앞으로 무슨 일을 하고 싶어?

 

어떤 활동을 할 때 자녀가 가장 행복해 보였습니까? 부모와 함께 요리를 할 때 입니까? 애완동물과 함께 놀 때 입니까? 학교 생활 과정에서 가장 즐거워했던 일은 무엇이었습니까? 이런 일들을 생각하면서 떠오르는 모든 것을 적어보세요.

자녀가 특정 과제에 대해 타고난 능력을 발휘한 적이 있었습니까?

앞으로의 직업과 관련된 특별한 과제 또는 활동을 해 본 경험이 있습니까? 있다면 그 중 좋아했던 과제 또는 활동은 무엇이었습니까?

다른 일과 비교해 볼 때 자녀가 특히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었습니까? 이 중 직업으로 연결될 만한 일들이 있다면 무엇이었습니까?

 

직업에 대한 꿈을 갖기 위해서는 직무 중심적 접근을 통해 직업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직무(job)란 일(Work) 또는 과업(task)을 분류하는 하나의 단위를 말합니다. 요리사의 주된 일 은 요리를 하는 일이지만, 이 일은 재료 구입, 재료 손질, 조리, 플레이팅, 서빙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때의 활동을 직무라고 합니다. 요리에 관심 있는 자녀라 하더라도 요리사의 모든 직무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고, 적성에도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리사의 직무 중 선호하는 직무를 찾아내야하고, 이렇게 발견된 직무를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찾아야하는 것입니다.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4979_0098.jpg

※ 느티나무경상남도장애인부모회에서 구직상담, 직업재활계획 수립, 직업훈련, 취업알선, 취업후 적응지원 등의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직업과 관련된 모든 문의는 070-7725-3964(직업전환지원팀)로 전화주세요.


2. 좋아하는 일과 직무

 

많은 정보가 나왔는가요?

그럼 자녀와 함께 자녀의 꿈과 희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활용하여 직업을 갖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자녀가 좋아할 만한 일은 어떤 것인지 대화를 해 봅시다. 자녀가 말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어도 다른방법을 사용하여 이런 생각을 함께 나눠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사진이나 그림을 활용하면 자녀를 대화에 더 쉽게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때 이야기의 주제를 자녀가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일에만 한정해서는 안됩니다.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생각조차 못했던 직업에 자녀가 관심을 보이는 일도 있을 겁니다. 자녀가 대화에 흥미를 보이지 않거나 피곤해 하면 일단 그 문제를 밀쳐 두었다가 며칠 뒤 자녀가 좀 더 흥미를 가질 수 있을 때 다시 이야기를 꺼내봅시다.

이렇게 나온 내용을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기록해보세요.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5170_177.jpg


3. 미래의 좋아하는 일과 직업


앞서 작성한 좋아하는 일과 직무 중에 자녀와 한가지를 선택하여 미래의 시간에 따라 구체화해 보세요.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5585_9942.jpg
 

4. 직업 미래 비전 및 목표 만들기

 

- 좋아하는 활동은 57페이지에 기록한 내용을 적으시고, 이를 참고하여 비전과 목표를 만드시면 됩니다.

- 비전 만들기는 현재의 모습, 1년 후의 모습, 5년 후의 모습, 10년 후의 모습을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앞서 작성한 좋아하는 일(활동)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변화된 모습을 자녀와 함께 기록해 보세요.

- 모굪 만들기는 비전 만들기에서 표현된 미래의 비전을 목표 형식으로 작성하는 과정입니다. 1년 후의 못브은 1년 후에 기대하는 목표가 되고, 5년 후에 기대하는 목표가 되고, 10년 후의 모습은 10년 후에 기대하는 목표가 됩니다. 예시를 참고하여 계획을 세워보세요.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5611_5456.jpg

* 비전 : 내다보는 장래의 상황

* 목표 :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


5. 직업 미래설계 파일


본격적으로 직업설계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59페이지에서 술비한 1년 후 직업 목표를 기록해주세요. 그리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세우도록 합니다. 이행계획은 3개월 이내 추진 가능한 것, 6개월 후 1년 이내 추진 가능한 것을 각각 제시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각 시기별 계획에는 이것을 누가, 어디서,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기록은 추후 이행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5789_4037.jpg
 

6. 직업 미래설계 이행과제 수행을 위한 단계별 이행 전략


직업 미래설계를 위한 계획이 완성되었다면 이행 계획을 실행에 옮겨 보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계별로 이행전략을 세워야하는데요. 해당 과제를 어디서, 어떻게(이행과제), 누구의 도움을 받아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행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행동 전략을 준비, 실행, 점검 단계로 나누어 구체화하고 실천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행과제는 자녀가 직접 수행하거나, 가족의 지원을 받아 자녀가 수행, 그리고 가족이 직접 수행할 필요가 있는 과제, 외부(활동지원사, 복지가관 등)의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 과제가 있습니다.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미래설계를 이행해보세요.


이행과제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고, 자녀(당사자) 또는 가족 구성원 등이 따라주지 않아 생각했던 것보다 더디게 진행될 수 있으며, 적절한 외부기관을 찾을 수 없어 수행자체가 불가능한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미래설계를 수정하여 좀 더 현실에 맞게 이행과제를 제시할 수 있고, 장애인가족지원센터 등에 배치된 사회복지사를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과정이 그러해야 하지만, 이 과정은 특히나 자녀를 포함한 가족, 그리고 자녀를 지원하는 사람들과 의논하여 계획을 세우시는게 좋습니다. 

9c4fb42053635209a6b46487a5be500c_1719796121_0034.jpg
 

카피라이터

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
주소. 경남 창원시 의창구 서상로12번길 67(서상동, 한성플러스) / Tel. 070-7725-8891 / Fax. 055-275-7908 / E-mail. knfamily2020@daum.net
Copyright(C)KNFAMILY. All Rights Reserved.